728x90
稅세금 세, 벗을 탈, 기뻐할 열, 수의 수, 추복 입을 태
제공처: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1. 세금(稅金)
- 2. 구실(온갖 세납을 통틀어 이르던 말)
- 3. 놓다
- 4. 거두다
- a. 벗다 (탈)
- b. 기뻐하다 (열)
- c. 수의(壽衣)(를 입다) (수)
- d. 추복(追服: 당상(當喪)한 일을 늦게 알고 그때부터 복을 입는 일)을 입다 (태)
- e. 수의(壽衣: 죽은 사람에게 입히는 옷)
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벼화(禾☞곡식)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兌(태)가 합(合)하여 이루어짐. 음(音)을 나타내는 兌(태)는 빼내다의 뜻을 나타냄. 본디 悅(열)ㆍ設(설)ㆍ脫(탈) 따위와 음도 뜻도 관계(關係)가 깊음. 禾(화)는 곡식(穀食), 농민이 수확(收穫)한 것 중에서 자유로이 쓸 수 있는 몫을 떼어 버린 나머지를 관청에 바치는 것.
자원(字源)회의문자
稅자는 ‘세금’이나 ‘거두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稅자는 禾(벼 화)자와 兌(기쁠 태)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兌자는 환하게 웃는 사람을 그린 것으로 ‘기쁘다’라는 뜻이 있다. 稅자는 租(세금 조)자와 마찬가지로 논밭에 대한 세금을 뜻하는 글자이다. 기쁜 마음으로 세금을 내라는 뜻이었을까? 稅자는 환하게 웃는 모습으로 그려져 ‘세금’을 뜻하게 된 글자이다.
稅세금 세, 벗을 탈, 기뻐할 열, 수의 수, 추복 입을 태 : 백성이 농사지은 벼(禾/벼 화)는 통치자들을 기쁘게 ( 兌/기쁠 태)
하는 세금이라는 뜻이다.
The rice that the people farmed is a tax that pleases the rulers.
728x90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俊준걸 준, 순임금 순 (0) | 2021.02.27 |
---|---|
保지킬 보 (0) | 2021.02.23 |
輕賤(경 천) (0) | 2021.02.21 |
租조세 조, 쌀 저 (0) | 2021.02.21 |
査조사할 사 (0) | 2021.02.21 |